현대미술에서 혼합매체(Mixed Media)는 말 그대로 하나의 매체가 아닌 여러개의 매체를 혼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형식을 일컫는다. "Mixed Media"라는 용어는 60년대 이후 미국 뉴욕의 전위미술가들 사이에서 널리 쓰이고 있은 용어인데 뉘앙스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인터미디어와 동어적으로 쓰이고있다. 그러나 그 형태에 있어서 우리는 주로 60년대 이후 뉴욕을 배경으로한 전위적인 작가들의 작업에서 주로 작업의 형태로 등장하였다고 알고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유럽의 아방가르드의 대표격인 "Marcel Duchamp: 마르셀 뒤샹"의 작품에서 시작되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혼합된 매체의 개념은 "un objet trouve': 발견한 오브제", 혹은 "ready made: 이미 만들어진"오브제에 전통적인 매체를 결합하는 방식의 개념에서 영향을 받았다. 입체파작가로 잘 알려진 "Picasso: 피카소"의 꼴라쥬기법에서도 신문과 채색등을 혼합하여 사용한 흔적을 볼 수 있으며,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작품을 제작하기위한 여러기법에서도 이러한 전통적인 작품제작의 방식에서 탈피하려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이전의 근.현대미술작가들의 작품에서 이러한 현상들을 보이는데, 때로 미술의 역사가 추상화(becoming abstract)의 역사라 할 때, 언어의 추상기능과 함께 회화의 추상과 상상력를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표현, 소통하려는 작가의 욕구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때로 아래의 예와 같이 "회화" 그 자체와 그리고 "제목"에서도 간단한 혼합된 매체의 징후를 볼 수 있다.
"Google "Pablo Piccaso" image search"
Etant donnés, 1946–1966, mixed media, Philadelphia Museum of Art. This was posthumously and permanently installed in the museum in 1969
20세기 들어서 전통적인 재료를 탈피하려는 작가들이 늘어나면서 그 범주와 종류가 증가한것은 현대 미디어 발전의 역사와 무관하지 않겠다. 특히 "Robert Rauschenberg: 라우셴 버그"와 "Richard Hemilton: 리쳐드 헤밀턴"의 작품에서 현대 소비사회와 광고의 발전에 대한 영향과 비판 등 여러 형태가 예술에 반영되었는데, 60년대 이후 미국의 경제적인 발전이 급속화되고 주변국과의 정치적인 상황 그리고 미국내부의 자유주의의 발전은 TV, 영화 등 영상미디어와 함께 예술에 큰 영향을 주었고 때론 항변의 형태로 때론 미디어형식의 발전에 대한 경외를 드러내는 퍼포먼스나 영화, 비디오 등 갖가지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쌍트르 퐁피두에서의 2006년 라우셴버그의 "Combine" 전시에 대한 글과 대표적인 그림들이다.
"Rober Rauschenberg" - Combines: (1953-1964)
11 October 2006 - 15 January 2007, Gallery 2, level 6
Monogram, 1955-59
Freestanding combine
Oil, printed paper, printed reproductions, metal, wood, rubber heel and tennis ball on canvas, with oil on angora goat and tyre on wooden base mounted on four casters, 106.6 x 160.6 x 163.8 cm
Moderna Museet, Stockholm
© Robert Rauschenberg / Adagp, Paris 2007
11 October 2006 - 15 January 2007, Gallery 2, level 6
Monogram, 1955-59
Freestanding combine
Oil, printed paper, printed reproductions, metal, wood, rubber heel and tennis ball on canvas, with oil on angora goat and tyre on wooden base mounted on four casters, 106.6 x 160.6 x 163.8 cm
Moderna Museet, Stockholm
© Robert Rauschenberg / Adagp, Paris 2007
"Google "Rober Rauschenberg" image search"
"Hamilton's 1956 collage titled Just What Is It that Makes Today's Homes So Different, So Appealing?"
Google "richard hemilton collage" image search
이러한 가운데 백남준의 작업을 빼 놓을 수 없을 것이다. 기존의 독일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Fluxus"의 멤버들 중 현존하는 "Mary Baumeister: 마리 바우마이스터"의 권유에 의해 미국으로 건너간 "백남준"은 비디오와 수집된 가구 등 물체들을 혼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그의 TV와 비디오의 발견은 오늘날 기술과 예술의 접목 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꼴라쥬인 통섭(interdisciplinarity)를 이루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주 기본적인 혼합매체에 대한 역사를 알아보았다. 물론 보다 세부적으로 왜 그러한 혼합매체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시대적인 배경은 어떻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도 중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과제에 맞추어 여러분들께 뒤샹과 "DADA, Surrealism: 다다, 초현실주의"에 대해 조사해 볼 것을 권한다. 특히 독일 작가 중 "Hans Bellmer"의 작업도 많은 영감(Inspiration)을 줄 것이다. 그리고 60년대 이후의 뉴욕작가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Fluxus"를 빼 놓을 수 없을 것이다. 이렇한 예술적인 경향의 배경에는 반드시 빼 놓을 수 없는 사회적인 환경과 정치적인 이념, 그리고 이론적인 배경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을 분석하여 현재 우리의 혼합매체 수업에 적용하여보자. 또한 각기 문화의 발전의 양상에 따라서 등장하는 새로운 매체에 대한 탐구도 놓치지 말아야 할 부분일 것이다. 이러한 현상 가운데는 반드시 여타의 다른 분야와의 조우가 선행된다. 때문에 뒤샹의 작업의 형태를 보면 단지 현대미술의 영역을 넘어서 연극, 무대, 문학, 음악 등 다분야에 걸쳐 그의 이념이 적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다방향적인 접근 또한 오늘날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 지 생각해보자.
Google "Hans Bellmer" image search
현대미술의 선구자 중 백남준을 꼽는다. 그 이유는 위에서와 같이 기술과 사회, 문화전반이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예술의 양태도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새로운 형태의 예술가를 요구하는데 그 20세기의 후반 그 중심에 백남준이라는 작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21세기가 요구하는 새로운 차원의 예술가상을 제시하였다. 물론 그러한 변화에 그의 예술을 전자예술, 혹 멀티미디어예술, 미디어예술 등 갖가지 형태의 언어로 표현할 만큼 새로운 예술의 개념을 확립한 사람이 백남준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행위를 동반한 여러 예술가가 공동으로 실험적인 예술의 갖은 형태를 제시하였고 그의 영향으로 "게리 힐"이나 "브루스 나우만", "빌 비올라", "로리 앤더슨", "강익중" 등 많은 예술가들이 배출되었다.
이번 혼합매체 수업에서는 이러한 전통적이 아니었으나 전통적이 되어버린 매체에서부터 새롭게 떠오르는 매체를 분석하고 적용하여 각자 나름의 새로운 혼합된 매체를 구현하는 것을 수업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만일 "새로움"이란 단어의 적용에 어려움을 느낀다면 "새로움"보다는 "적용된"이란 뜻으로 대체하겠다. 때문에 각자 나름의 이유를 들어 작품에 적용해보자.
혼합매체 작가들
마르셀 뒤샹, 앙드레 브루통, 파블로 피카소, 로버트 스미손, 로버트 라우셴버그, 제스퍼 존스, 리처드 헤밀턴, 앤디 워홀, 안젤름 키퍼, 존 케이지, 백남준, 마리 바우마이스터, 요셉 보이스, 요르그 임멘 도르프, 브루스 나우만, 게리힐, 빌 비올라, 로리 앤더슨(Laurie Anderson),조안 조나스, 신디 셔먼, 레베카 혼, 바바라 크루거, 장 팅겔리, 니키드 생팔,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일리아르 카바코프, 존 케슬러, 제이슨 로드,매튜 바니, 데미안 허스트, 뱅씨, 파울텍, 존 케슬러, 우디 바술카, 스테이너 바술카, 피터 캄푸스, 제프리 쇼우, 스텔락, 야요이 쿠사마, 오노 요코, 마사키 후지하타, 쿄오시 후루카와, 루이 필립 드메어, 등 등
과제
1. what is mixed-media? - paper work - 첫번째 주
2. 그룹과 주제선정, 발표 - 조별 발표 - 두번째 주
2-1. 과제 1, 재료수집 및 드로잉, 꼴라쥬컨셉드로잉 - 매주
3. 과제 1-1, 다이아그램드로잉 - 자신과 재료, 역사, 미술사 등, 자신이 파악한 시대별 다이아그램
4. 과제 1-2, 텍스트, 텍스트로서의 추상, 의미, 기호, 나열(그림과 사진, 텍스트)
5. 과제 1-3, 텍스트, 시적변용 - Lyric, 영화 등, 감각적, 비감각적인 표현
6. 과제 1-4, Mixed Media Narrative - 동영상과 이미지를 나열한 Narrative - 영화분석
7. 과제 2-1, 변형, 레디메이드 - 조합 - 혼성모방 - 통섭 - 등, 등
8. 과제 2-2, 자신만의 Mixed-Media, 가상, 소설, 이야기
9. 과제 2-3, 미니멀, 개념, 그리고 변형된 재료, 변형된 신체
10. 과제 2-4, 통합, 환경과 인간, 동물
11. 과제 3, 미디어꼴라쥬
12. 과제 4, 꼴라쥬의 의미를 그룹별로 분석하고 미디어를 이용한 그룹별 설치
No comments:
Post a Comment